본문 바로가기

정책의 모든것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방법부터 만기해지, 만기시 이자 계산

반응형

 

오늘은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방법부터 만기해지, 만기시 이자 계산에 대해 함께 알아볼건데요. 올해 군입대를 앞두고 계시는 건강한 청년이라면 오늘 알아보는 군적금에 관심을 가지셔야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은 군복무중인 장병들이 전역 후 사회에 복귀할 때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적금 상품인데요. 군복무 기간 동안 경제적으로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높은 이자율과 다양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 자격

일단 장병내일준비적금의 신청자격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까요?

가입대상은 현역병, 상근예비역, 의무경찰, 해양의무경찰, 의무소방원, 사회복무요원, 대체복무요원이며, 남은 복무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있어야합니다. 단 금리는 남은 복무 기간에 따라 다르고, 1인당 매월 최대 40만원 납입 가능하며, 40만원 납입의 경우 2개 은행으로 나눠서 20만원씩 납입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표는 가입기간별 이자율입니다.

기간 6 ~ 12 개월 12 ~ 16 개월 16 ~ 만기까지
이자율 평균 4% 평균 4.3% 평균 5%

 

반응형

 

매칭지원금

매칭지원금이란 장병내일준비적금에 적금한 금액에 일정비율을 더 추가로 주는 복지 정책입니다.

 

2022년, 2023년에는 국가지원이자(1%)와 군적금 원금의 33%, 71%가 지원되었고, 올해 2024년부터는 국가지원이자를 받지않고 매칭지원금으로 원금의 100%를 지원받는 것으로 변경되었습니다.

 

장병내일준비적금 신청 방법

신청자격이 된다면 이제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야겠죠?

일단 입대를 하기전에 2가지 준비사항이 있습니다.

 

1. 입영 전 가입할 은행(2개 이상) 계좌를 개설하고 해당 은행 앱을 설치합니다.

2. 가입자격확인서 발급을 위해 '나라사랑포털' 앱을 설치합니다. 

 

※ 가입자격확인서는 입대 후 발급 가능

 

입대 후에 신청가능하고 신청방법에는 4가지가 있습니다.

 

1. 신병교육을 받을 때 협약은행에서 부대방문이 있을 때 가입한다.

2. 신병교육 종료후에 자대를 배치받고 휴가/외박/외출이 있을때 은행에 방문하여 가입한다.

3. 나라사랑포털 앱에 접속하여 비대면으로 가입한다.

4. 대리자(부모님)가 가입한다. 대리자 가입시 가족관계증명서, 부모님 신분증, 가입자격확인서가 필요하다.

 

장병내일준비적금 만기해지, 이자 계산

전역 후에 본인이 가입한 은행에 방문하여 해지 가능합니다. 필요서류로는 신분증과 병역증, 병역증명서, 복무 사실 확인서 중 1개가 필요합니다.

 

이제 여러분이 가장 궁금해하실 장병내일준비적금 만기 해지시 이자를 계산해보겠습니다.

육군을 기준으로 계산을 해봅시다.

육군  복무기간 : 18개월

원금 : 18 x 40만원 : 720만원

은행이자(5%로 가정) : 28.5만원

만기시 금액: 748.5만원 + 매칭지원금 720만원(원금의 100%) = 약 1,468.5만원

  

따라서 전역때까지 월 40만원 납부하면 원금제외하고 이자 약 748만원을 받을수있다.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거나 문의사항이 있는분들은 아래 해당은행에 전화하시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지 장병내일준비적금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군 월급이 많이 오른만큼 최대금액인 40만원은 충분히 납입 가능하다고 생각되며, 제대 후 사회생활에 있어 목돈을 마련하기 좋은 상품이니 꼭 가입하시고 혜택받으시길 바랍니다.

반응형